[조문호 렌즈세상] 겨울이 오면 쪽방촌은 추위보다 화재가 무섭다.
추위를 막는 대부분의 물품이 불이 붙으면 쉽게 꺼지지 않는 소재인데다, 주방이 없어 방 안에서 부탄가스로 밥을 한다. 전선도 대부분 노후화되어 아슬 아슬한데다, 끼고 사는 전기장판도 너무 오래되어 위험하다. 방과 방 사이 사람 한 명이 들어가기 어려울 만큼 다닥다닥 붙은 쪽방 구조 자체가 불에 취약한데다 화재가 나도 소방차가 진입하기도 어렵다.
동자동 쪽방촌은 해마다 화재로 골머리를 앓는데, 사흘 전에도 불이나 한바탕 소동이 벌어졌다. 다행히 인명피해는 없으나, 재발을 막을 수 있는 근본적인 대책이 없다. 동자동 재개발을 계속 미루는 것이, 화재로 사라지기를 기다리는 건가?
나 역시 정선 살 때 옆집에서 옮겨 붙은 불로 모든 걸 태웠지만, 아산으로 옮기고 나서도 불을 끼고 산다. 장작 타 들어 가는 불길이 좋아 하염없이 지켜보는 것이 낙이라면 낙인데, 활활 타오르다 한 줌의 재로 사는지는 것을 보면 마치 인생을 보는 듯 하다, 집에 손님만 오면 불을 피워 고기나 고구마를 구워 먹는데, 문제는 태울 나무가 넉넉지 않다는 데 있다.
지난 목요일도 서둘러 아산으로 내려가 필요한 생필품을 사려고 '하나로마트'부터 들렸는데, 완주의 김종신씨가 백암길 전시장에 와 있다는 연락을 했다. 부리나케 달려갔더니 부안의 김영숙씨와 같이 와 있었다. 땔감이 부족해 걱정했는데, 캠핑 카에 있던 참나무부터 꺼내 불을 지피기 시작했다. 다행히 나무가 적게 들어가는 화덕을 사용해 한숨 돌렸다.
아담한 불길에 삼겹살과 고구마를 구워 술판을 벌였으나, 나는 안주만 축낼 팔자가 되고 말았다. 20여일 전부터 금주를 시작했으나 전시 중 딱 한 차례 유혹에 못 이겨 술을 마셨는데, 술이 들어가니 아니나 다를까 음담패설을 즐기던 예전 버릇이 도졌다.
그 이후로 술을 마시면 손가락을 자르겠다고 다짐했으니, 그들의 건배를 지켜볼 수밖에 없었다. 술 고문이나 다름 없는데, 죄 없는 담배만 피워댔다. 유일하게 낄낄거리며 웃을 수 있게 만든 술을 밀쳐내는 마음이 애인을 잃은 듯 허전한데, 블루투스에서는 비발디의 사계 중 겨울 악장이 흐르고 있었다.
그러나 반가운 벗들과 오래된 이야기 나누는 정겨움에 위안받고, 타오르는 불길에 음악 날리는 행복감을 찾았다. 하늘에 걸린 초승달 또한 얼마나 매혹적인지, 예쁜 여인네 눈웃음 같았다.
김영숙씨는 김종신씨 술 덜 먹이기 위해 마시다 보니 주량이 늘었다며, 연이어 술 잔을 부딪혔다. 홀 애비와 과부가 서로 사랑하며 의지하지만, 자식들 눈치 보여 결혼 못한다니, 답답한 분들이다. 자식들이 평생 같이 살아줄 것 같은가? 한참 분위기가 무르익는데, 집으로 돌아가던 마을버스가 멈추며 김재돌씨가 내렸다.
유달리 사진을 좋아하는 분이라 반겼는데, 운전하는 애주가에게 술을 권할 수 없어 난감했다. 꼬불쳐 둔 대마불사주를 한 잔만 따라 주었는데, 단숨에 들이킨 후 고기 던져 주기를 기다리며 바라보는 들고양이처럼 애절한 눈길을 보냈다. 건달로 살아오다 우연히 마을버스 기사 자리를 얻어 살아가는, 지난 이야기를 하염없이 풀어 대는 바람에 분위기를 깨버렸다.
술자리가 파한 후 김종신씨 내외는 캠핑 카에 자러 갔으나, 잠이 오지 않아 첫닭이 울 때까지 뒤척이다 늦잠에 빠져들었다. 눈을 떠 보니 해가 중천에 걸렸고, 김종신씨도 그때 사 일어나 떠날 준비를 했다. 선우가 끓여 놓은 시락국으로 속 달래며 아쉬운 작별을 했다.
요즘은 텃밭의 채소가 다 자라 나무하는 것이 유일한 일이다. 주변에서 주워 사용하던 나무가 바닥나, 당장 급한 일은 땔감 장만하는 일이었다. 현충사 둘레길로 이어진 산길로 차를 끌고 가 넘어진 소나무 가지를 조그만 톱으로 잘라 오기란 만만찮았다.
그렇지만, 모닥불에 둘러앉아 보내는 행복한 시간은, 포기할 수 없는 일이었다. 두 차례나 오르내리며 정신 없이 실어 나른 후, 일을 끝 내려는데 톱이 보이지 않았다, 다닌 곳을 삼십 분 가량 찾아 헤매다, 포기하고 차로 돌아와 보니 짐칸 나무에 걸려 있지 않겠는가?
어이 없지만, 이런 치매 현상이 어제오늘 만의 일도 아니다. 실어 온 나무도 제법 많은 것 같았으나, 잘라 정리해보니 두세 차례 땔거리밖에 되지 않지만, 보리 슝년에 이게 어딘가?
마당을 청소하며 돌아보니 오래전 김창복씨가 옮겨 심은 국화가 이제 사 봉우리를 맺기 시작했다. 서리 올 때 핀다는 말은 들었으나, 너무 반갑고 고마웠다. 모든 꽃이 시드는 늦가을의 아쉬움을 이 국화가 달래 준다. 마치, 너도 아직 죽을 때가 아니라는 듯...
저작권자 ⓒ 더코리아저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