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 송도 사옥. [사진=셀트리온]


[더코리아저널 강부열 기자] 셀트리온이 미국 생산시설 보유 회사 인수 검토 등 미국 의약품 관세 부과 추진에 대한 중장기 전략을 마련 중이라고 발표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최대 1년 6개월의 유예기간을 두고 의약품에 대해 최대 200%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언급한 데 따른 조치다.

셀트리온은 미국 의약품 관세 부과 움직임에 대비해 단기·중기·장기 전략을 포함한 상황별 대응책을 마련하고, ‘미국 트럼프 행정부 의약품 관세 부과 계획에 관한 회사 입장’을 공개했다고 9일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8일(현지 시각) “해외 기업들이 미국에 들어올 시간을 1년에서 1년 반 정도 줄 것”이라며 “그 이후에는 관세를 부과할 것이며 관세율은 200%에 달할 수 있다”고 말햇다. 외국 제약사들이 미국 내 생산설비를 갖출 수 있는 유예기간을 부여한 뒤, 이후 고율 관세로 압박하겠다는 구상으로 분석된다.

이에 셀트리온은 기간별 대비 전략을 소개했다. 단기적으로는 2년 치 제품 재고를 이미 확보했으며 앞으로도 상시 2년분의 재고를 보유한다는 방침이다. 중기적으로는 미국 내 유통 제품을 현지에서 생산할 수 있도록 위탁생산(CMO) 파트너와의 계약을 체결, 장기적으로는 미국 내 생산시설을 보유한 제약회사 인수를 검토 중이다.

셀트리온은 “지난 5월 주주간담회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당사는 미국 현지에서의 대응 체제를 단기뿐 아니라 중장기 전략까지 차근히 진행 중”이라며 “관련 진행 상황은 지속적으로 주주들에게 공유하고, 회사에 대한 신뢰가 유지될 수 있게 하겠다”고 강조했다.